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9-11-14 15:03:28
기사수정

중앙보훈방송=김희자 기자경남 하동군과 정재상 재야사학자가 발굴해 포상 신청한 독립운동가 김승탁(金承鐸·19001943하동군 적량면) 선생을 비롯한 6명이 1117일 순국선열의 날을 맞아 정부서훈을 받는다고 14일 하동군이 밝혔다.


하동군에 따르면, 이번에 서훈을 받는 독립운동가는 하동출신 김승탁·이원태(금남면양봉원(화개면강명순(하동읍) 선생과 전남출신 최한원(광양시), 전북 김용상(정읍시) 선생으로 건국포장 1, 대통령표창 5명이다.


정재상 경남독립운동연구소장서훈과 관련해 지난해 3월부터 하동군과 경남독립운동연구소가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군내지역 미발굴·미포상 독립운동가 찾기 전수조사를 추진하면서 국가기록원과 하동군 읍·면사무소 문서고 등에서 발굴한 독립운동가라고 말했다.


건국포장을 받는 김승탁(적량면 서리) 선생은 하동 대한독립선언서에 서명하고 하동 3·1운동을 이끈 김응탁(1894) 선생의 여섯 살 아래 동생으로 밝혀졌다. 선생은 1920년 하동에서 일제의 침략정책을 비판하는 활동을 주도하다 일본경찰에 체포돼 소위 제령7호 위반으로 1920122일 진주법원에서 징역 10월을 받았다.


선생은 출옥 후 1925년 하동노농연합회 집행위원 등으로 항일운동을 이어가다 순종 장례식 전 또다시 검거돼 투옥, 고초를 겪었다. 이후 선생은 둘째형 김응탁과 함께 중국 만주로 망명해 독립운동을 펼쳤다.


특히 김승탁은 만주에서 조선인 학교를 설립, 교사로 활동하며 민족 해방운동을 이끌었다. 이러한 활동 중 1943724일 일본군에 의해 피살 순국했다. 선생의 나이 43세였다. 현재 선생의 딸 김부자(79)씨가 하동읍 부용동에 거주하고 있으며, 조카 김영수(66)씨가 적량면 하서마을 이장을 맡아 활동하며 선생의 고향마을을 지키고 있다.


대통령표창을 받는 5명 중 이원태(李源泰·1894금남면 덕천리) 선생은 1919329일 하동군 진교 장날에 정재백·이홍식 등 1000여명의 시위 군중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고 독립만세를 주도했다. 선생은 이 같은 일로 그해 512일 진주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월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양봉원(梁奉源·1900화개면 운수리) 선생은 1919년 하동 쌍계사 승려 김주석이 주도한 화개장터 만세운동에 적극 가담했다. 양봉원은 미리 태극기를 만들어 화개장날인 46일 군중에게 태극기를 나눠주고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를 전개했다. 이날 시위에는 전남 구례와 광양 주민 등 400여명도 합세했다. 이 같은 일로 선생은 일본경찰에 체포돼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5월에 집행유예 3년을 받았다.


강명순(姜明順·1904·하동읍 읍내리) 선생은 19275월 경남 통영군()에서 도평의원의 매국행위를 성토하는 시위에 참여하다 체포돼 소요 및 건조물 손괴 등의 죄목으로 마산법원에서 징역 3, 집행유예 2년을 받았다.


최한원(崔漢元·19061980·광양시 태인동) 선생은 192712월 전남 광양에서 김태수·최영근 등과 일제의 사법제도 비판과 조선인 교육 차별에 관한 문서 등을 배포한 혐의로 일본경찰에 체포돼 소위 출판법 위반으로 금고 6월에 집행유예 3년형을 받았다.


김용상(金容相·1914정읍시 정주읍 시기리) 선생은 정읍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193210월경 김한섭 등과 함께 정읍에서 비밀결사 노동조합을 조직해 민족해방운동에 앞장섰다. 이 같은 일로 19345월 일본경찰에 체포돼 9월 중순 전주법원에서 징역 2년에 집행유예 4년 형을 받을 때 까지 4월의 옥고를 치렀다.


윤상기 하동군수는 우리지역 김승탁 독립지사를 비롯해 이웃 광양출신 최한원 선생과 정읍출신 김용상 선생의 독립운동 행적이 함께 세상에 드러나고, 그 공적을 인정받아 군과 경남독립운동연구소가 추진해온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이 더욱 뜻깊다고 말했다.


[김희자 기자 khj-pizza@hanmail.net]

24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bctv.net/news/view.php?idx=586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국가보훈처4
많이 본 뉴스
게시물이 없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