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9-01-31 10:31:10
기사수정

중앙보훈방송=오재욱 기자국가보훈처, 광복회, 독립기념관이 공동으로 김마리아 선생을 20192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김마리아(1892. 6. 18. ~ 1944. 3. 13.) 선생은 1892618일 황해도에서 태어났다. 마리아는 독실한 개신교 신자였던 아버지가 지어주신 세례명이다.

 

19181월 미국 대통령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원칙이 발표되고, 이듬해 1월부터 파리강화회의가 개최된다는 소식이 알려지게 되자, 재일 동경 유학생들은 이를 한국 독립의 절호의 기회로 이용하고자 독립선언을 준비했다. 이것이 바로 동경 유학생들의 2·8독립선언 계획이었는데, 여기에 김마리아라 선생을 비롯한 여자 유학생들도 참여하여 활동했다.

 

이후 선생은 2·8독립선언문 10여 장을 미농지에 복사하여 옷 속에 감추고는 현해탄을 건너 부산에 도착했다. 이어 교육계·기독교계·천도교계의 지도자들을 만나 재일 동경 남녀 유학생들의 독립운동에 대해 보고하면서 국내에서의 거족적인 독립운동을 촉구했다.

 

▲ [(좌)김마리아 선생, (우)김마리아, 안창호, 차경신 / 사진제공=독립기념관] 국가보훈처, 광복회, 독립기념관이 공동으로 김마리아 선생을 2019년 2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3

·1운동이 일어난 날에도 선생은 여성들에게 독립운동 참여를 촉구했고 선생은 그 배후 지도자로 지목되어 학생들과 함께 체포되었다. 출감 후 선생은 고문 후유증에 시달리면서도 조국 독립의 꿈과 희망을 잃지 않았고 정신여학교 동창과 교사들이 중심이 된 대한민국애국부인회의 조직과 활동 상황을 알게 되었다. 선생과 임원들은 애국부인회의 조직 확대와 여성 독립운동의 활성화 방안을 논의한 뒤, 그를 위한 선행 조치로 선생을 회장으로 선임했다. 이후 중국 남경대학에 입학하여 일본에서 못 다한 공부를 계속하는 한편,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의정원에서 황해도 대의원으로 선출되어 활약했다.

 

이후 미국 유학을 위해 상해를 떠나게 되었고, 고학 생활 중에도 조국 독립의 염원을 버리지 않았다. 그리하여 선생은 19282월 미국에 유학 중인 여학생들을 중심으로 여성 독립운동 단체인 근화회를 조직했다.

 

19327월 귀국한 선생은 종교 모임과 강론을 통해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등 지속적으로 항일투쟁을 전개했다. 선생은 고문 후유증이 재발함에 따라 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던 중, 1944313일 순국했다. 정부에서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자료제공=국가보훈처).

 

[오재욱 기자 jbctv@jbctv.net]

2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bctv.net/news/view.php?idx=389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국가보훈처2
많이 본 뉴스
게시물이 없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