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7-10-14 17:57:02
  • 수정 2017-10-14 17:59:13
기사수정

제대군인 2명 중 1명은 실업자로 조사됐다.


국회 국방위원회 김진표 의원이 국방부와 한국국방연구원에게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마다 6,500명 내외의 중장기 복무자가 전역하고 전역 후 취업률은 2016년말 기준 54.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문재인정부 20대 국정전략 중 하나인 강한 안보와 책임국방을 위해 우수한 군인적자원 확보가 확실히 뒷받침되어야 한다, “제대 후 장래에 대한 보장과 안정은 현역 군인들 뿐만 아니라 앞으로 우수한 인재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김 의원은 군 조직의 특성상 사회적으로 가장 왕성한 시기인 30대 초반에서 40대 후반에 원치 않는 전역을 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제대군인 대부분이 취학아동의 학부모이거나 대학생 자녀를 둔 가장으로 제대 후 재취업은 곧 가족의 생계와 직결되는 만큼 전직 지원체계를 선진화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실제로 주요 선진국들의 전역 후 취업률을 살펴보면, 미국 95%, 독일 93.4%, 프랑스 92% 9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김 의원군 복무와 동시에 전직 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군 복무 기간 중에는 자격증 취득을 지원하고, 군 복무 말기에는 직업교육과 취직 과정 지원 생애주기 전직 지원체계 확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미국전직지원 프로그램(TAP; Transition Assistant Program)을 통해 최초 자대배치 후 개인개발계획서를 작성하고 이후 전 복무기간에 걸친 전직준비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또한 김 의원은 군 직무능력 향상과 개인의 전문성 강화 결합이 필요하다군 특기교육에 민간의 전문자격 취득에 필요한 교육과정을 반영하면 전문기술자를 양성해 활용하고 개인전문기술을 획득전역을 준비할 수 있는 win-win 전략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독일의 경우 군인 전문교육과정 편성 시 군사분야전문자격증 취득에 필요한 교육 내용동시에 고려하여 편성하고 있는데, 군 직무연관민간자격증 교육을 이수하기 때문에 새로운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에 비해 시간적·경제적으로 효율적이라는 것이다.


한편, 김 의원은 최소 전역 1년 전에는 장기복무 선발을 완료하도록 장기복무 선발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이를 통해 전역 대상자기본 업무와 함께 본격적으로 전직 준비를 병행할 수 있는 충분한 기간제도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전역 후 연차별 취업률 (단위 : %)

1년차(‘16)

2년차(‘15)

3년차(‘14)

4년차(‘13)

5년차(‘12)

장기복무

57.1

41.4

59.0

62.9

64.4

57.2

중기복무

50.9

30.4

50.5

57.5

61.9

65.3

자료 : 한국국방연구원


전역 후 취업률 국제비교 (단위 : %)

한국

미국

독일

프랑스

영국

일본

54.3

95

93.4

92

94

97

자료 : 한국국방연구원, 각 언론

2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bctv.net/news/view.php?idx=29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국가보훈처1
많이 본 뉴스
게시물이 없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